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7월 28일 개봉예정인 영화 모가디슈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모가디슈는 영화 베를린, 베테랑 등을 연출한 우리나라 대표 감독 류승완의 오랜만의 컴백작입니다. 2017년 개봉했던 군함도가 역사왜곡 논란에 휩싸이며 류승완 감독은 한 동안 큰 곤욕을 치뤘습니다. 그러다 올해 ‘모가디슈’라는 초대형 텐트폴 영화로 오랜만에 컴백하게 되었습니다.
영화 모가디슈 줄거리 및 실화
영화 모가디슈는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영화입니다. 오랜 냉전시대가 마무리 되어가던 1990년, 우리나라는 UN가입을 위해 한창 노력하던 시기였습니다.
여러 공산주의권 나라들과도 수교를 맺어가며 국제세계에서 한국의 입지를 점차 넓혀갔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UN에 가입하지 못한 나라였습니다. 이에 한국은 UN 가입을 위한 각 나라들의 지지를 위해 아프리카에도 여러 외교 대사들을 파견하기 시작합니다.
소말리아도 한국이 UN가입을 위해 외교관을 파견한 여러 나라 중 하나였습니다. 하지만 1991년 소말리아에서 내전이 터지면서 파견된 7명의 외교관 및 관계자들은 소말리아에 고립되게 됩니다. 내전으로 통신까지 차단이 된 상태에서 이들은 고국으로 돌아가기 위해 고군분투하여 결국 12일 만에 극적으로 탈출하게 됩니다.
영화 모가디슈를 이런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영화 모가디슈는 우리나라 외교관 및 관계자들이 탈출을 위해 고군분투 하던 와중, 북한 대사관 일행들이 도움을 요청하며 문을 두드리게 되고 남북은 하나가 되어 내전에 휩싸인 소말리아를 탈출하는 이야기를 그렸습니다. 영화의 제목인 ‘모가디슈’는 소말리의 수도 이름입니다.
뛰어난 배우들과 스케일
모가디슈는 화려한 배우 라인업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주연 배우로 김윤석, 조인성, 허준호, 구교환, 김수진, 정만식이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김윤석은 충무로의 믿고 보는 배우로, 이미 수많은 영화에서 연기력을 입증받은 배우입니다. 허준호 또한 진중한 연기력이 뛰어난 배우로 이미 너무나 유명하며 조인성, 구교환, 김수진, 정만식 등 연기파 배우들이 대거 등장합니다.
또한 모가디슈는 오랜 만에 개봉하는 큰 스케일의 영화로, 이번 여름 텐트폴 영화로 큰 기대를 받고 있습니다. 로케이션 또한 올 아프리카에서 진행되었다고 하며, 특히 모로코에서 많은 분량을 촬영했다고 합니다. 소말리아는 현재까지도 위험지역으로 분류되고 있어, 촬영이 어려웠다고 합니다.
시사회 및 개봉 전 반응
이번 모가디슈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시사회 반응이 굉장히 좋다는 점입니다. 사실 이런 텐트폴 영화의 경우에는 시사회 반응이 좋을 때도 많지만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거나 유치하다라는 반응도 꽤 많습니다. 아무래도 영화 성수기 시장을 노리는 거라 오락성이 짙거나 큰 스케일과 마케팅에 비해 생각보다 내용이 빈약한 경우도 많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번 모가디슈의 경우 대체적으로 평이 굉장히 좋습니다.
“김윤석과 조인성, 첫 호흡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케미를 보인다.” “진중하면서도 액션과 유머를 잃지 않았다”등, 배우들의 연기력과 촘촘한 이야기 진행에 대한 호평이 많았습니다. 씨네21의 김성훈 또한 9점을 주며 “류승완식 휴머니즘과 액션을 앞세운 필사의 탈출기”라는 호평을 내렸습니다. 대부분이 ‘재밌고 감동이 있다’ 라는 평을 내리는 것을 보면 정말 잘 만들어진 한국형 텐트폴 영화라는 생각이 됩니다.
2017년에는 <군함도>와 관련된 논란으로 고생을 했던 류승완 감독이지만, 이번에는 큰 호평을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의 영화계가 큰 고통을 받고 있지만 그래도 <블랙 위도우> <크루엘라> 등 해외 대형영화들이 잇달아 개봉하며 점차 활력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이 기세를 이어 <모가디슈>가 흥행에 성공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52시간 근무제란? 탄력근로제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 52시간 근무제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리나라 근로 시간은 OECD 국가 중에서도 최상위권에 속합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연 평균 근로시간이 2019년 기준 멕시코에 이
e-today.tistory.com
직업 연봉 순위 , 직업연봉 TOP10
안녕하세요! 오늘 함께 알아볼 것은 직업 연봉 순위입니다. 직업을 선택할 때 단순히 돈보다는 비전이나 안전성 또 업무 적합성을 따지는 시대가 되었지만 여전히 돈은 직업을 선택하고 평가하
e-today.tistory.com